[풋볼리스트] 김정용 기자= 전술과 라인업을 모두 대폭 수정한 결과 이란전보다 우즈베키스탄전이 나았고, 전반전보다 후반전이 나았다.

6일(한국시간)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 위치한 분요드코르 스타디움에서 ‘2018 러시아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A조 최종 10차전을 치른 한국은 우즈베키스탄과 0-0 무승부를 거뒀다. 조별리그 최종 순위 2위로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게 됐다.

 

선발 라인업 : 이란전보다 더 자연스런 축구

선수 구성은 이란전보다 더 합리적이었다. 이란전 당시 난이도 높은 4-4-2 포메이션을 자기 포지션 아닌 선수들이 소화하느라 조직력 유지에 어려움을 겪었다. 4-4-2의 측면 미드필더를 소화하기엔 너무 공격적인 윙어 손흥민, ‘박스 투 박스’ 미드필더 역할이 생소한 중앙 미드필더 구자철과 장현수, 중앙 공격수로 배치된 권창훈 등이 거의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헤맸다.

새 포메이션은 3-4-3이었다. 일단 중앙 미드필더들은 이란전보다 기본적인 위치 선정, 수비 조직 구성에서 한결 나은 모습을 보였다. 전문 수비형 미드필더인 정우영과 3-4-3 경험이 있는 권창훈은 이란전 멤버들보다 포메이션에 대한 이해도가 훨씬 높았다. K리그에서 스리백의 윙백을 가장 능숙하게 소화하는 김민우와 고요한이 좌우를 맡았다. 왼쪽 윙어 손흥민, 오른쪽 윙어 이근호 모두 3-4-3 혹은 3-4-2-1에서 해당 역할을 맡아 본 선수들이었다.

신태용 감독은 경기 전 “지지 않는 경기를 하겠다”와 “이기러 왔다”는 모순된 말을 번갈아 했다. 한국의 실제 전술은 공격적이었다. 3-4-3으로 나선 팀은 수비 상황에서 양쪽 윙백을 모두 후퇴시켜 파이브백을 만드는 경우가 많다. 반면 한국은 우즈벡이 공격하는 쪽과 가까운 윙백만 내려 포백을 만들고, 나머지 윙백 한 명은 조금 앞에 배치했다. 수비할 때 4-5-1처럼 변하는 대형이었다.

한국의 경기 운영은 앞선 이란전보다 훨씬 자연스러웠다. 이란전에선 어수선한 분위기, 많이 훼손된 잔디 때문에 기초적인 실수를 자주 저질렀지만 우즈벡을 상대로 한결 나아진 모습이었다. 볼 컨트롤, 퍼스트 터치가 개선되며 후방의 불안감이 약간 개선됐다.

그러나 만족스런 경기력이었다고 하긴 힘들었다. 최근 소속팀 디종에서 공격 자원으로 뛰는 권창훈은 오랜만에 후방에 배치된 것이 어색한 듯 미드필더로서 너무 모험적인 패스를 하다 끊기는 장면이 나왔다. 상대 미드필더에 대한 지연 수비도 잘 되지 않았다. 여기에 정우영도 불안한 플레이를 하면서 한국의 중앙이 여전히 문제를 드러냈다. 수비수 김영권이 치명적인 패스 미스로 위기를 자초했을 때도 미드필더들의 지원이 너무 늦었다는 문제가 잠재돼 있었다.

전반 20분 우즈벡 미드필더인 아지즈벡 하이다로프의 중거리 슛이 한국 골대를 강타했다. 한국 미드필더들의 견제가 치열하지 못했다. 한국은 이란전과 마찬가지로 약속된 패턴의 세트 피스를 통해 득점 기회를 잡았으나 장현수의 마무리 슛이 빗맞았다. 전반 막판은 서로 거친 플레이를 교환하느라 큰 기회도, 위기도 없이 흘러갔다.

 

후반전 변화 : 염기훈 효과 본 한국이 더 우월했다

후반전 전술은 전반과 달랐다. 전반 43분 스리백의 일원이었던 장현수가 부상으로 이탈하자, 신 감독은 수비수 대신 미드필더 구자철을 투입하며 포메이션을 바꿨다. 상황에 따라 4-3-3과 4-2-3-1을 오가는 전형이었다. 정우영이 여전히 수비형 미드필더로 남아 수비진 앞을 지켰고 권창훈은 공격형 미드필더처럼 활동했다. 구자철이 그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려 노력했다.

구자철 투입 효과는 전반전 막판에 이미 시작돼 있었다. 전반 추가시간에 신 감독이 강조하는 ‘돌려차기’ 원터치 패스가 고요한, 황희찬, 손흥민으로 절묘하게 이어졌으나 손흥민의 슛이 골대에 맞았다.

4-2-3-1과 4-1-4-1은 한국이 가장 익숙한 축구다. 울리 슈틸리케 전 감독 말년의 조직력 붕괴를 극복한 한국은 익숙한 포메이션을 바탕으로 공을 잘 순환시켰다. 우즈벡 미드필더들의 견제를 받지 않는 곳으로 이동해 공을 받고, 능숙하게 상대 골문 쪽으로 돌아선 뒤 빠른 패스워크로 공을 전진시키는 장면이 여러 번 나왔다.

한국의 좌우 수비수들은 스리백의 윙백일 때보다 포백의 풀백일 때 오히려 더 적극적으로 공격에 가담했다. 특히 김민우는 페널티 박스 근처에서 공을 기다리는 모습까지 보였다. 거의 윙어에 가까웠다. 후반에 완전히 주도권을 잡은 한국은 현란한 패스워크로 득점 기회를 노렸으나 마지막 슛을 머뭇거리다 상대 수비 몸에 맞히고 마는 상황이 아쉬웠다.

후반 19분 염기훈이 교체 투입되며 한국은 더 공격적인 축구를 시작했다. 포진이 4-4-2에 가깝게 바뀌었다. 왼쪽 미드필더 염기훈이 투입되자마자 핵심 역할을 했다. K리그에서 발휘하던 경기력 그대로였다. 염기훈은 공을 좀처럼 빼앗기지 않았다. 간결한 볼 키핑 후 전진 패스를 하거나, 재빨리 드리블로 진격한 뒤 특유의 날카로운 크로스를 날렸다. 우즈벡으로선 알고도 막기 힘든 공격 루트였다.

한국은 후반 33분 공격수를 이근호 대신 이동국으로 바꿨다. 이동국은 승부를 거의 끝낼 뻔했다. 후반 40분 헤딩슛이 땅과 크로스바를 연속으로 맞고 나왔다. 후반 43분에는 골키퍼와 일대일 상황에서 기회를 살리지 못하고 선방에 막혔다.

후반전은 한국 선수들의 전술 지능과 기본기가 우즈벡보다 나았다. 한국이 깔끔한 경기력으로 상대를 밀어붙이는 모습을 오랜만에 본 경기였다. 다만 후방에서 공을 끌다가 위기 상황을 자초하는 성향이 일말의 불안감을 남겼다.

한국은 결국 득점 없이 비겼고, 아슬아슬하게 월드컵 본선 직행에 성공했다. 두 경기 연속 0-0 무승부를 거둔 신 감독은 본선행에 필요한 최소한의 성과를 내는데 성공했다. 이제 본선이 열리는 내년 6월까지 틈틈이 선수들을 모아 전술을 정하고 조직력을 끌어올려야 한다.

사진= 대한축구협회 제공

관련기사

저작권자 © 풋볼리스트(FOOTBALLI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