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풋볼리스트] 김정용 기자= 한국 남자 축구 대표팀이 중국 원정에서 보인 문제 중 하나는 각 선수의 역할과 조합이 분명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23일 중국 후난성 창샤에 위치한 허롱 스타디움에서 ‘2018 러시아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A조 6차전을 치른 한국은 중국에 0-1로 패배했다. 전반 34분 코너킥 상황에서 위디바오에게 내준 헤딩골이 그대로 승부를 갈랐다.
한국은 앞선 전력에도 불구하고 졸전을 했다. 세트피스 외에는 결정적인 슛이 나오지 않았다. 컨디션 좋은 김신욱, 황희찬, 이정협 중 슈틸리케 감독이 고른 공격수는 이정협이었다. 손흥민과 이청용이 없는 측면에는 남태희와 지동원을 배치했고, 구자철이 언제나처럼 공격형 미드필더를 맡았다.
한국은 왜 이정협을 선발로 내보냈는지, 어떤 공격을 하고 싶은지 파악하기 힘든 팀이었다. 이정협이 선발로 나왔다면 장점인 팀 플레이를 살려서 2선 자원들과 협력해 공격을 진행했어야 했다. 그러나 유기적인 공격을 시도하는 모습이 드물었다.
전문 윙어 없이 원래 섀도 스트라이커에 가까운 남태희와 최전방 공격수까지 소화하는 지동원을 측면에 배치했다면 단순한 돌파가 아니라 상대 수비를 뚫기 위한 콤비네이션이 준비돼 있었어야 했다. 이 준비 역시 잘 보이지 않았다.
특히 구자철은 훌륭한 공격형 미드필더지만 한때 좋은 패스 능력을 갖고 있었던 것과 달리, 최근 분데스리가에서는 약간 투박하더라도 팀 플레이가 좋은 스타일의 선수로 변모하고 있다. 이런 특성을 감안한다면 개인 능력으로 측면을 돌파하기 힘든 지동원을 구자철과 나란히 기용하는 건 좋은 조합이 아니었다.
지동원은 전문 윙어가 아니지만, 공격 상황에서 최전방에 가담하기보다 측면에 머무르며 직접 돌파에 이은 크로스를 집요하게 노리는 등 자신의 장점과 맞지 않는 플레이를 했다. 역시 공격진에게 어떤 역할을 부여했는지 불분명한 대목이었다.
특히 기성용과 고명진을 미드필드에 조합한 것도 의도를 파악하기 힘들었다. 슈틸리케 감독은 늘 전방 압박을 통한 공격에 신경쓰지만, 고명진과 기성용으로는 상대 공격을 빨리 끊어 공격 속도를 높이기 힘들다. 이 경기에서 고명진은 후방에서 공을 배급할 것인지, 전방으로 올라가며 가까운 거리에서 공격진에게 좋은 패스를 넣을 것인지 자기 역할을 확정하지 못한 상태에서 플레이했다. 패스와 기술이 장점인 고명진을 굳이 한국영, 정우영 등을 제치고 넣을 필요가 없어 보이는 경기력이었다.
후반 운영 역시 큰 의미가 없었다. 김신욱을 선발이 아닌 교체로 썼다면 김신욱을 투입하는 순간부터 롱 패스를 자주 시도하며 공격 패턴을 바꾸는 것이 일반적이다. 슈틸리케 감독은 김신욱을 조커치고 너무 이른 하프타임에 교체 투입했고, 김신욱을 향한 롱볼을 그리 적극적으로 지시하지 않는 모순적인 전술 운영을 했다.
특히 고명진을 빼고 침투와 돌파가 좋은 황희찬을 투입한 뒤 전혀 활용하지 않은 건 의아한 뿐이다. 황희찬이 측면 공격에 가담하거나, 김신욱이 머리로 떨어뜨리는 공을 받으려 적극적으로 움직이거나 어느 쪽이든 약속된 플레이가 진행되지 않았다.
대표팀은 프로 구단보다 조직력이 약하고, 더 단순한 플레이를 추구할 때 효과를 내기 쉽다. 콘셉트가 보이지 않는 축구로는 각 선수를 조합하기 힘들다. 한국 선수들은 시너지 효과를 내지 못했다. 아시아에서 가장 뛰어난 선수들을 갖고도 상대를 좀처럼 압도하지 못한 채 최종예선이 절반 넘게 흘러갔다.
사진= 대한축구협회 제공
관련기사
- 축구 미디어 아카데미 개강...PD, 기자, 해설위원 초빙
- [한준의 작전판] 리피가 슈틸리케를 통제했다
- 한국엔 없던 변칙 플레이, 중국은 '전략' 있었다
- '골수 맨유팬' 유골 올드트라포드에 뿌려졌다
- 백승호 80분-이승우 40분, 신태용의 바르사 듀오 관리법

